언제부터인가 아날로그식 기록에 집착을 하기 시작하였다.
언제부터일까? 솔직히 잘 기억은 나지는 않는다. 하지만 멋지지 않은가? 사각거리는 필감, 한획 한획 그려지는 글자들 말이다.
처음에는 만년필로 시작을 하였다. 지금도 만년필은 꾸준히 모으지만, 만년필에서는 잘 느낄수 없는, 나무의 향을 나는 느끼고 싶었다.
그래서, 어느날인가 유튜브에서 보았던, 한자루에 몇천원씩 한다는 연필을 보았다. 한자루에 2만 1천원, 연필 한자루 가격 치고는 너무나도 비싼 가격, 하지만 이 연필은 조금은 달랐다.
후설할 내용이지만, 우스개 소리로 연필깎이를 사면 연필이 덤으로 따라온다는 연필, 오늘은 이 파버카스텔 퍼펙트펜슬의 관한 짧고도 간단한 리뷰를 작성을 해 보려 한다.
처음에 포장을 보았을 때에는 이게 뭔가 싶었다. 정말로 단 한자루가 들어있는 패키지, 그리고 그 위에 연필팁 보호용 캡 치고는 조금은 고급스러워 보이는 연필깍이까지 말이다.
솔직히 인터넷을 통해 저 캡이 연필깍이 겹용이라는 글을 찾아보지 못 하였더라면, 그저 불필요하게 크기만 키운 그저 겉보기용으로 고급스러움만 챙긴 흔하디 흔한 보여주기용 사치품에 불가하다고 생각을 하였을 터이다.
연필은 B가 기본으로 장착이 되어왔다. 연필에 끝에는 이제는 연필의 상징이라고도 볼수가 있는 작은 지우개까지, 연필의 전체샷은 실수로 찍지는 못 하였지만, 작은 패키지에 모두 넣기 위해 짧게 깎여서 온것을 알수 있었다.
연필의 필감 자체는 나쁘지 않았다. 적당한 사각거림과 부드럽게 써지는 글자들, 내가 생각해온 거의 그대로의 필감을 선보였다.
후에 이 블로그에 나의 작품들을 올릴 예정인데, 그 작품들을 거진 연필로 작업을 하였다. 이 연필로도 2개의 짧은 단편선을 적었는데, 뭐랄까, 연필이 나에게 조금 더 많은 창작의 영감을 주는듯 하였다.
컴퓨터의 타이핑으로는 줄수없는 그런 감정선들을 적게 해 주는것이 연필의 진정한 매력이 아닐까 한다.
위에 이 사진은 간단하게 이 연필로 공부를 한 흔적이다. 개인적인 사담을 하나 덭붙이자면, 현재의 나는 해외로 나가기 위해 아이엘츠 공부를 하고 있다. 저 연필로 쓴 글들이 그 흔적이라 할수 있겠지.
앞서 약간의 말들이 있었던 연필깎이 겸용 캡이다.
저 작은 캡 안에 저렇게 작은 연필깎이가 들어가 있다. 꽤나 준수하게 깎이는 연필을 보고 있자니, 퍽 잘 샀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저 연필깎이를 메인으로 사용을 할수는 없을거 같다. 아무래도 작기도 작은데다가, 무엇보다 연필을 깎은 후 남은 흔적들을 처리하기가 어렵다.
사용을 하면서 야외나, 연필깎이를 찾을수 없는 현대 사회의 업무 속에서는 급하게는 잘 사용이 될거 같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저 잘 만든 연필깎이도 약간의 실망점은 있는데, 몸체가 플라스틱 이라는 것이다. 물론 여느 저렴한 공산품 마냥 저렴한 플라스틱의 느낌은 아니다. 잘만 관리를 하며 사용을 한다면, 몇년간은 무리없이 꾸준히 쓸수는 있을 정도의 견고함이다. 다만, 2만원이 넘는 -이마저도 할인을 하여 2만원 이었다.- 가격임에도 그저 플라스틱이라는 것은 약간의 실망감을 안겨다 주기에는 충분 하였다.
하기사, 지금 현대에 이르러서 저런 아날로그 필기구는 이제는 필기구가 아닌 사치품의 영역으로 들어간 것은 사실이다. 아무리 필기감이 좋아도, 아무리 예뻐도 지금은 연필이나 펜대신 다들 테블릿의 펜슬이나 키보드를 먼저 두들기는 것이 사실이니 말이다.
나 또한 디지털 기기가 없는것은 아니다. 당장의 모바일 폰이나,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기기도 아이패드이니 말이다.
그렇지만, 거진 2주일간 연필 한자루를 다 쓰면서 느끼는 점은, 디지털 시대에도 따라 잡을수 없는 아날로그의 묘한 감성과 향수가 있다는 것이다.
어쩌면 이것이 연필이 발명되고 수백년이 흘렀음에도 여전히 생산을 그리고 사용을 하는 이유가 아닐까 한다.
앞으로도, 창작 활동을 할 때에는 계속하여 연필이나, 만년필과 같은 아날로그 필기구를 잡지 않을까 한다.
연필로 그려내는 나의 새로운 이야기, 먼 훝날에도 전해지길 바라면서 말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